가족 사정의 의미와 목표
가족 사정이란 가족 문제의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종합해서 가족에 대한 개입을 계획하는 과정이다. 가족 사정은 전문가의 입장에서 이루어지는 객관적 상황에 대한 사정과 그 객관적 상황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주관적 측면에 대한 사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가족사정시에는 가족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고 클라이언트에 대한 관찰, 기록 등의 경험적 자료에 근거해 진행해야 한다. 가족 사정은 가족이 현재 처한 시대적 배경을 고려해서 진행해야 한다.
가족 사정은 현실적 목표에 기초해 장기 목표와 단기 목표를 세운다. 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가족의 강점, 지역사회의 자원 등을 확인하고 개입의 유형을 결정해 어떤 변화가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것이 목표이다.
가족 사정의 내용
가족은 체계론적 관점에서 보면 가족 구성원 상호 간에 복잡하게 얽혀있는 역동적인 체계로 본다.
가족은 구성원 간 또는 외부와의 경계를 가지는데 경계는 세 가지 종류가 있다.
첫 번째 명확한 경계란 가족 구성원 간 또는 가족의 하위체계 간에 독립성과 자율성이 인정되고 상호융통성이 있는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상태의 경계이다.
두 번째 경직된 경계란 체계들이 분리되어있거나 고립되어있어 다른 체계에 대한 관심과 지지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태의 경계이다.
세 번째 혼돈된 경계란 가족 구성원 및 하위체계 간에 독립성 및 자율성이 결핍되어 밀착상태에 있어 체계 간의 경계를 구분하기 어려운 상태의 경계이다.
가족 권력이란 다른 가족 구성원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데 일반적으로 다른 구성원의 욕구를 실현하게 할 수 있는 자원을 많이 가진 구성원이 큰 권력을 가지고 있다.
가족 간의 의사소통에서 비언어적 신호가 언어적 신호보다 신뢰도가 높고 의사소통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과정이므로 가족 구성원의 역기능적 관계를 교정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가족 사정의 방법
가족을 사정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인터뷰, 그림 그리기, 관찰, 체크리스트의 네 가지가 있다.
첫 번째 인터뷰는 가족을 사정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중요한 방법으로 가족 구성원과 그의 중요한 타인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두 번째 그림 그리기(Graphic Measure)는 가계도, 생태도, 사회관계망 표, 생활력도표와 같이 가족 내의 역동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방법이다.
가계도(Genogram)란 보웬(Bowen)이 제시한 개념으로 클라이언트의 3세대 이상에 걸친 가족관계를 도표로 그려 현재 제시된 문제의 원인을 찾는다. 가계도를 작성할 때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가 함께 작성하고 남성은 사각형, 여성은 원 등으로 나타내서 가족의 구조, 관계, 세대 간의 반복유형 등의 정보를 알 수 있다.
생태도(Ecomap)란 하트만(Hartman)이 제시한 개념으로 생태 체계적 관점에서 가족관계를 비롯해 가족의 자원과 외부 환경의 상호작용을 나타낸다. 생태도는 클라이언트의 상황에서 의미 있는 체계와의 관계를 그림으로 표현해 특정 문제의 개입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된다. 생태도를 그릴 때는 실선으로 긍정적인 관계, 점선으로 불확실한 관계를 묘사하고 가계도와 마찬가지고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가 함께 작성한다. 생태도를 통해 가족 구성원과 주변의 관계, 가족 체계의 욕구, 자원의 흐름과 필요한 자원이 무엇인지, 가족의 스트레스 요인 등을 알 수 있다.
사회관계망 표(Social Network Grid)란 클라이언트의 환경 내에 영향을 미치는 체계를 의미하며 사회적 지지 유형을 구분하고 가족의 환경과 자원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생활력도표(Life History Grid)란 각 가족 구성원의 삶에서 중요한 사건 등을 표로 나타내는 것이다. 클라이언트의 현재 역기능적 문제를 특정 시기의 어려움이나 경험과 연관해 이해할 수 있다.
세 번째 관찰은 가족조각과 실연의 두 가지 방법으로 진행한다. 가족 조각(Family Sculpture)이란 가족이 다른 가족 구성원에 대해 인식한 것을 살펴볼 수 있는 사정도구이다. 문제에 대해 개인을 존중하고 입장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이며 가족 내에 숨겨진 가족 규칙을 알 수 있다. 가족 조각은 소극적인 가족들이 자연스럽게 참여해서 치료하도록 하고 동일한 문제를 두고 여러 가족원이 조각해서 문제를 바라보는 가족 구성원 간의 차이를 알 수 있다. 실연(Enactment)이란 과거에 있었던 역기능적 상황을 재연하는 것을 의미한다.
네 번째 체크리스트는 가족 사정 과정에서 가족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와 주관적인 정보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실천-위기개입모델, 임파워먼트모델, 해결중심모델 (0) | 2023.03.21 |
---|---|
사회복지실천-과제중심모델 (0) | 2023.03.20 |
사례관리의 과정과 개입원칙, 사례관리자의 역할 (0) | 2023.03.18 |
사례관리의 개념 및 등장배경 (0) | 2023.03.17 |
사회복지실천과정 2단계 탐색 및 자료수집, 3단계 사정 (0) | 2023.03.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