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

사회복지실천-과제중심모델

by 투게더캣 2023. 3. 20.
반응형

과제 중심 모델의 의의

과제 중심 모델은 1970년대 리드와 엡스타인(Reid & Epstein)이 단기 치료의 우수성을 입증하는 연구를 기초로 형성된 사회복지 실천 모델이다. 개인과 가족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계획된 모델인데 특정 이론에 근거한다기보다 다양한 이론을 절충해서 사용하는 실천 틀을 제시한다.

 

헬렌 펄만(Helen Perlman)은 클라이언트의 과제를 문제해결 과정에 초점을 두었고 엘리엇 스텃(Elliot Studt)은 클라이언트의 과제를 서비스에 초점을 두었다.

 

과제 중심 모델은 효율성 측면에서 단기 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기존의 전통적인 장기개입의 효과성에 대한 비판이 대두되었다.

 

과제 중심 모델의 주요 개념

과제 중심 모델에는 크게 두 가지 개념이 있다.

 

첫 번째 표적 문제(Target Problem)이다. 표적 문제란 개입의 초점이 되는 문제이며 클라이언트가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이다. 표적 문제를 선정할 때 클라이언트의 견해가 최대한 반영되어야 하며 구체적으로 설정한다. 표적 문제는 우선순위를 고려해서 최대 3개까지 설정할 수 있다.

 

두 번째 과제(Task)이다. 과제란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가 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행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표적 문제를 명확히 하고 계획을 세우는데 과제의 내용, 형식에 관해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가 함께 정한다.

과제 계획 시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에게 자신감을 불어넣어 주는 등의 높은 동기를 유지하게 시키고 클라이언트가 실행할 수 있는 과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클라이언트가 과제를 여러 번 반복해도 달성할 수 없는 경우 과제를 바꾸는 융통성이 필요하다.

과제는 클라이언트의 행동 방향만 제시하는 일반적과제와 클라이언트가 구체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조작적 과제로 나뉘고 조작적 과제는 일반적 과제의 하위과제의 형태이다.

 

과제 중심 모델의 개입 과정

과제 중심 모델은 시작하기, 문제규명, 계약, 실행, 종결의 다섯 가지 단계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시작하기(Starting Up)는 비자발적 클라이언트는 외부 기관에서 클라이언트를 의뢰한 경우이며 자발적 클라이언트는 클라이언트 스스로 기관에 찾아온 경우이다. 비자발적 클라이언트는 의뢰한 이유와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확인한다. 자발적 클라이언트는 클라이언트의 문제와 우선순위를 확인해서 기관에서 서비스할 것인지 다른 기관으로 의뢰를 할 것인지 결정하고 기관에서 서비스 제공이 적합한 경우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두 번째 문제규명(Problem Identification)은 클라이언트가 제시하는 문제를 탐색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표적 문제를 규정한다.

 

세 번째 계약(Contracting)은 서면계약과 구두계약이 있으며 문제 해결방안에 대해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동의로 이루어진다. 비자발적 클라이언트의 경우 보호자와 계약을 체결한다. 계약 내용에는 표적 문제, 주요 목표,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의 과제, 개입 일정 등이 포함된다.

 

네 번째 실행(Implementation)에서는 과제 중심 모델에서 개입의 대부분을 실행하는, 시간을 가장 많이 할애하는 단계이다. 표적 문제에 대한 사정, 대안 모색, 협의, 과제실행, 점검이 실행단계에 포함되는 활동이다.

 

마지막 다섯 번째 종결(Termination)단계에서는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가 개입과정을 통해 성취한 것에 대해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연장하거나 사후 지도를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