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 개입모델
위기란 위협적, 외상적 위험 사건을 경험하고 취약해져 이제까지의 대처 방법으로는 스트레스나 외상에 대처할 수 없는 불균형한 상태를 의미한다.
위기는 네 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는데 책임감, 내면의 갈등과 같은 실존적 위기, 예측할 수 없는 질병과 사고 등과 같은 상황적 위기, 청소년의 정체성, 중년의 갱년기 등의 발달적 위기, 과거와 현재의 문화 충돌에 의해 나타나는 위기인 사회문화적 위기이다.
생활에서 직면하는 위기는 개인적 성장을 촉진할 수 있지만 무력감을 초래하기도 한다.
위기 개입모델은 위기 상황에 처해있는 개인이나 가족을 초기에 발견해 원조 활동을 수행한다. 위기 개입은 상대적으로 단기적 접근이며 관찰할 수 있는 구체적인 문제들이 위기 개입모델의 표적 대상이다. 위기 개입모델에서 사회복지사는 적극적이고 직접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라포포트(L. Papoport)가 제시한 위기 개입의 목표는 네 가지가 있다.
첫 번째 클라이언트의 위기 증상을 완화하고 제거하는 것, 두 번째 위기 이전의 수준으로 회복하게 하는 것, 세 번째 위기의 촉진 요인과 촉발사건에 대해 이해할 것, 네 번째 자원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치료 방법을 모색할 것이다.
위기 개입은 신속한 개입을 원칙으로 하는데 되도록 위기상태 직후부터 6주 이내에 해결되어야 한다. 또 위기 개입모델 다른 어떤 모델보다도 적극적인 개입을 해야 한다. 위기 개입의 목표와 실천 과정은 간단하고 구체적으로 설정해야 하고 클라이언트에게 희망을 고취하도록 한다. 또한, 위기 상황과 관련한 현재의 구체적인 문제에 초점을 둔다.
임파워먼트모델
임파워먼트모델이랑 클라이언트를 문제관점이 아닌 강점관점으로 보고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해결하는 모델이다.
1970년대 후반 일반체계이론과 생태 체계적 관점을 기반으로 나타났다.
임파워먼트모델의 목표는 클라이언트의 잠재적인 역량에 초점을 두고 자아효능감을 증진한다. 또 클라이언트가 자기 강점을 찾고 자기 삶과 상황에 대해 통제력을 갖도록 돕는다.
임파워먼트모델의 개입과정은 크게 3단계로 나뉘어 있다.
1단계 대화(Dialogue)에서는 클라이언트와 상호협력관계를 수립하고 현재 상황을 명확히 해서 문제해결을 위한 일차적 목표를 설정한다.
2단계 발견(Discovery)에서는 클라이언트의 강점을 확인하고 수집된 정보를 조직화하여 자원역량에 대한 사정을 통해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3단계 발전 또는 발달(Development)에서는 클라이언트가 가지고 있는 기존 자원을 활성화하고 기회를 확장하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새로운 대안을 개발한다.
해결 중심 모델
해결 중심 모델이란 정신 조사연구소(MRI; Mental Research Institute)의 문제 중심 단기 치료와 사회구성주의적 관점의 영향을 받은 모델로 클라이언트의 성공 경험, 강점, 자원과 같은 클라이언트의 건강한 측면에 초점을 둔다.
인간의 삶에서 변화는 지속적이고 불가피한 것이므로 변화 자체를 치료를 위한 해결책으로 활용하며 클라이언트의 의견을 수용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중심의 치료적 접근이 가능하다.
해결 중심 모델에서 목표설정은 작고 구체적인, 클라이언트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 긍정적이고 과정의 형태로 정의하고 목표를 문제해결의 시작으로 간주한다.
해결 중심 모델의 개입과정에서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경청하고 클라이언트가 진술한 내용을 사회복지사가 정리하고 재진술해서 적절한 피드백을 한다. 또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행동과 미세한 변화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대상 사회복지실천기술 (0) | 2023.03.22 |
---|---|
사회복지실천-과제중심모델 (0) | 2023.03.20 |
사례관리의 과정과 개입원칙, 사례관리자의 역할 (0) | 2023.03.18 |
사례관리의 개념 및 등장배경 (0) | 2023.03.17 |
사회복지실천과정 2단계 탐색 및 자료수집, 3단계 사정 (0) | 2023.03.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