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

사회복지실천에서의 면접

by 투게더캣 2023. 3. 12.
반응형

면접의 개념과 목적

사회복지 실천의 핵심 중 하나인 면접은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간의 의사소통이다.

면접은 사회복지개입의 중요한 정보수집을 위한 도구이며 면접 그 자체가 치료적 효과를 볼 수 있다.

사회복지 실천에서 면접은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가 전문적 관계에 바탕을 두고 문제나 욕구 해결 등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시간 제한적 대화이다.

 

면접은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획득하고 클라이언트에게 정보를 제공하며 원조 과정에서 장애를 파악, 제거한다. 치료관계를 확립하고 유지하며 목표 달성을 위한 활동을 파악하고 이행하며 원조 관계를 촉진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면접의 특징

면접은 목적 지향적인 활동이며 개입목적에 따라 의사소통 내용이 제한된다.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가 상호 합의한 상태에서 진행되는 한정적이고 계약적인 활동이다. 또한 서로의 역할이 다르며 개인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공식적이고 의도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이다. 또 면접을 진행하는 기관의 상황적 특성과 맥락에 따라 다르게 이루어진다.

 

면접의 종류

사회복지 실천에서 면접은 세 가지 종류가 있다.

 

첫 번째, 정보를 얻기 위한 면접인데 정보수집 면접 또는 사회조사 면접이라고도 한다.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와 상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수행하는 면접이다.

여기서 정보는 모든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아닌 클라이언트에게 효과적으로 도움을 주기 위한 꼭 필요한 정보만 수집한다. 정보는 객관적 사실, 주관적 감정, 태도 등을 포함한 내용을 담는다.

클라이언트뿐만 아니라 가족, 고용인, 이전에 접촉한 기관과의 면접도 수행할 수 있다.

 

두 번째, 사정을 위한 면접이다. 사정 면접은 어떤 치료를 사용할 것인지 결정하기 위한 면접으로 현재 문제를 비롯해 문제해결을 위한 목표와 개입 방법을 결정한다. 사정 면접은 문제상황을 이해하고, 문제해결 과정의 장애물을 탐색하며 클라이언트의 강점을 파악하고 클라이언트 욕구의 우선순위를 설정한다.

 

세 번째, 치료를 위한 면접이다. 치료 면접은 클라이언트와 환경의 변화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사회적 기능을 향상하며, 더 효과적인 적응을 위해 감정, 태도, 행동상의 변화를 유도한다. 클라이언트의 자기 효율성과 자신감을 강화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을 훈련한다.

 

의사소통으로서의 면접

의사소통은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나눌 수 있다.

언어란 사람의 태도, 감정, 생각 등을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언어적 의사소통은 가장 간편하고 만족스러운 방법이다.

언어적 의사소통은 비언어적 의사소통과 함께 사용되기도 하며 첫 번째 접촉 시에는 쉬운 용어와 단어를 사용하고 평가하는 듯한 용어는 사용하지 않는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신체 동작을 사용하는 신체언어로 표정, 자세, 시선, 등을 포함하며 신체언어를 활용한 의사소통은 말보다 강력한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두 사람이 의사소통할 때 언어로는 3분의 1 정도의 사회적의미가 전달되며 신체언어로 나머지 3분의 2가 전달된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효과적으로 하려면 눈을 맞추고 편안하고 개방적인 자세를 취한다. 또 말을 할 때 표정을 말과 같은 의미로 해서 혼란스럽지 않게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