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

사회복지실천- 통합적 접근의 주요 관점(1) 환경 속의 인간, 일반체계이론

by 투게더캣 2023. 3. 9.
반응형

사회복지 실천에서의 환경 속의 인간

환경 속의 인간(PIE ; Person In Environment)이란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 책임을 개인, 환경 모두에 초점을 두는 것을 의미한다. 리치몬드는 사회진단이라는 책에서 환경 속의 인간을 강조하였고 미국 사회복지사협회는 사회복지 실천의 목적은 모든 사람이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개인과 사회의 유익한 상호작용을 증진하거나 복구시키는 것이다라고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강조했다.

사회복지 실천의 직접환경은 개인, 가족, 친구, 생활에서 접하는 프로그램 등이 해당한다. 간접환경은 광범위한 환경을 뜻하는데, 사회복지사는 직접환경보다 간접환경에 개입하는 사례가 적다. 그 이유는 간접환경은 변화시키기 어렵고 클라이언트에게 끼치는 영향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이다.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를 이해하기 위해 개인의 내적인 측면과 가족, 학교, 직장 등의 다양한 환경체계에도 관심을 가져야 하는데 이처럼 인간과 환경을 동시에 초점을 두는 것을 이중초점(Dual Focus)’이라고 한다.

 

환경 속의 인간(PIE) 체계는 개인과 환경 모두에 초점을 두고 활동하는 사회복지 실천에 부합되는 분류체계이며 개인의 역할기능수행과 주변으로부터의 지지상황 모두를 고려하여 문제를 분류하는 체계이다.

PIE 체계는 제1축 사회 기능상 문제, 2축 환경상 문제, 3축 정신 건강상 문제, 4축 신체 건강상 문제로 총 4가지 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체계이론의 개념 및 구조적 특성

일반체계이론에서 체계란 상호 영향을 받는 상호 의존적인 부분들로 구성된 전체를 의미한다. 체계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항상성과 규칙성을 유지하며 개인과 환경을 상호보완적인 전체로 인식한다.

 

체계는 개방체계, 폐쇄체계, 경계, 홀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방체계는 환경으로부터 투입을 받아들여 산출을 생산해 내보낸다.

폐쇄체계는 투입을 받아들이지 않고 산출도 생산하지 않는 다른 체계와의 교류가 없는 체계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구성원 사이의 구별이 없어지고 관계가 약해져 소멸한다.

경계는 체계를 구성하는 소단위로서 물리적 공간, 개념적 공간을 의미한다. 경계는 한 체계를 다른 체계와 구분하는 눈에 보이지 않는 테두리이며, 이 경계에 의해 체계와 환경의 구분이 가능해진다.

홀론은 전체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홀로스(Holos)’와 부분을 의미하는 (On)’이 결합한 단어로 전체에서 부분을 구별할 수 있지만 절대적 의미에서 전체와 부분을 나눌 수 없다는 사실을 전제로 한다. 홀론은 작은 체계들 속에서 그 체계들을 둘러싼 큰 체계의 특성이 발견되고 작은 체계들이 큰 체계에 동화되는 현상을 말한다.

또 한 체계는 상위 체계에 속한 하위체계임과 동시에 다른 체계의 상위체계가 될 수 있다.

 

일반체계이론의 진화적 특성과 행동적 특성

체계의 진화적 특성에는 균형(Equilibrium), 항상성(Homeostasis), 안정상태(Steady State) 세 가지가 있다.

균형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에너지 투입 없이 현상을 유지하려는 속성을 의미하며 환경과 수평적 상호작용을 선호한다.

항상성은 끊임없는 변화에서 균형을 회복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역동적인 균형을 이루는 상태를 의미한다.

안정상태는 체계가 붕괴하지 않도록 에너지를 지속해서 사용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체계의 행동적 특성에는 투입(Inputs), 전환(Throughputs), 산출(Outputs), 환류(Feedback) 네 가지가 있다.

투입은 체계가 환경으로부터 에너지를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한다.

전환은 받아들인 에너지를 처리하는 과정이다.

산출은 에너지를 처리하는 과정이 진행되면서 체계가 환경에 반응하게 되는데 이 과정을 거쳐 배출된 결과물을 의미한다. 환류는 받아들인 새로운 에너지에 자신의 행동 결과를 포함해 다음 행동을 수정하는 과정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