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

사회복지 실천의 통합적 방법론

by 투게더캣 2023. 3. 8.
반응형

통합적 접근의 등장 배경과 특징

기존의 접근방법이 지나치게 세분되고 전문적으로 구성되어있어 다양한 욕구와 문제를 가지고 있는 클라이언트는 여러 기관과 사회복지사들을 찾아다녀야 했다. 또한 전문화 중심의 교육훈련은 사회복지사들의 분야별 직장이동에 어려움을 주었으며 사회사업 전문직의 정체성 확립에 장애가 되었다. 그리하여 특정 이론에 초점이 맞춰진 기존의 방법과 달리 환경과 체계를 강조하는 새로운 이론을 사회복지 지식체계에 도입하려는 시도가 있었고 클라이언트의 문제는 여러 체계의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라는 인식이 확산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통합적 접근방법은 사회복지 실천의 기본이론과 실천에 공통적 기반이 있음을 전제로 실천과 관련된 개념을 소개하는 동시에 개념 사이의 유기적 관계를 설명한다.

통합적 접근방법에서는 클라이언트의 잠재성을 인정하고 잠재성 개발에 역점을 둔다. 문제에 따라 다른 접근법을 사용하여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고, 클라이언트의 참여와 자기결정 및 개별화를 강조한다.

통합적 방법론이 사회복지 실천에 미친 영향

통합적 방법론이 대두되면서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사회복지 실천 영역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게 되었다. 또한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이 극대화되었고, 사회복지 전문직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기존의 방법과 달리 인간과 주변 환경의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게 되어 생태 체계적 관점의 실천을 확대했다.

통합적 관점의 발달 과정

1800년대 후반에서 1900년대 초기의 자선 조직협회는 빠르게 도시화, 산업화하는 사회에서 사람들이 겪는 다른 사회문제에도 관심을 가졌다. 처음에는 빈곤의 원인을 개인의 문제로 보았으나 나중에는 저임금, 공공건강 문제 등을 초래하는 사회정책으로까지 분석을 확대했다. 자선 조직협회에서 실천은 개인과 개인의 가족, 이웃, 지역공동체와의 상호작용에 있었다. 인보관 운동에서 그 직원들은 개인과 지역공동체를 위해 활동하였으며 지역주민들을 개혁운동에 참여시켰고 여자, 아이, 소수민족을 위한 옹호자 역할을 했다. Mary Richmond(1917)는 사회진단(Social Diagnosis)이라는 책에서 개인과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업무 중에서도 공통성이 발견된다고 이야기했다.

1955년 많은 사회복지 조직들이 미국 사회복지사협회로 통합되었고 이 통합은 사회복지 실천 내의 공통성을 발견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미국 사회복지사협회는 사회복지 실천의 실용적인 정의를 구성하기 위해 노력했다.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에는 통합적 관점의 제도화가 가속되었고 1984년 교육과정에 관한 정책진술문에서는 진보된 통합적 사회복지 실천을 사회복지학 석사과정의 한 영역으로 인가했다.

반응형

댓글